Scene

/이불사진/
하루가 저문 밤. 개운하게 씻고 이불 속으로 파고들어가 핸드폰을 열어 곧장 인스타로 향한다. 알고 있다. 메시지를 주고받을 누군가가 존재하지도 않고, 마땅히 올리고 싶은 그 어떤 사진도 나의 앨범에는 없다는 것을. 심지어 인스타를 헤매이다 한두 시간을 훌쩍 보내고 시선으로부터 떼어내듯 핸드폰을 내려놓을 것이라는 사실도. 그렇게 마주한 내 현실은 적막으로 가득하겠지. 더 이상 이불 속이 포근하지 않으리라는 것도 알고 있다. 밀려오는 자책감과 옅은 두통, 무겁게 가라앉아 버린 마음은 오늘의 잠도 우울하게 만들 것이다. 나는 어제와 그제와 그그제와 그그그제의 모든 밤을 통해 이 사실을 이미 알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건 아무래도 상관없다 - 왜. 도대체 왜 나는 이토록 허겁지겁 내 자신을 학대하듯 인스타로 내모는 것인가.
not SNS - RNS, Record Networking Service
/우간다 아기 침팬지 그림/
해리 할로우(Harry Harlow)는 태어난 지 얼마 되지 않은 새끼 레서스원숭이들을 어미로부터 떼어 놓았다. 이 작고 여린 새끼 원숭이들은 어미 역할을 대신하는 두 가지 장치와 함께 하게 되었다. 하나는 철사로 엮어 만든 어미 모양의 원숭이였다. 이 장치에서는 젖병을 통해 모유가 나왔다. 다른 장치는 철사를 엮고 그 위에 천을 둘러 어미의 털 촉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대신 젖병은 달지 않았다. 원숭이는 배고플 때만 철사 어미에게로 갔다. 길게는 20시간이 넘도록 천으로 감싼 어미 모형에 꼭 달라붙어 있었다. 무서운 자극을 마주했을 때에도 이들의 선택은 천으로 감싼 어미였다. 이 잔인한 실험은 심리학 역사에서 애착(Attachment)을 이해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지.
인간은 무리지어 사는 사회적 동물이다. 나는 호랑이를 좋아하지만 호랑이처럼 혼자 살 수 없다. 나무늘보가 팔자 좋다 생각하지만 나무늘보처럼 혼자 살 수 없다. 수리부엉이 혹은 문어처럼 홀로 살 수 없다. 무리 안에서 고독할 수 있지만, 무리 없이 홀로 살 수는 없다. 홀로 있는 조용한 나의 방보다 시끌벅적한 카페를 찾아가 공부하는 이유도, 혼자 여행해도 괜찮은 이유도, 빈 병에 편지를 넣어 망망대해에 띄워 보내는 이유도 우리는 무리 안에 있고 싶기 때문이다. 무리 안에 살고 있다는 그 온기가 우리에게는 중요하다. 그것은 어떤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생존을 위한 것이다. 우리는 다만 살기 위해 서로의 온기가 절실하다. 그렇다면 그 온기는 지금 어디에 있나. 마을도 이웃도 가족도 친구로부터 잔인하게 떨어져 나온 우리는 온기를 찾아 어디로 향하고 있는가. 우리의 어떤 굶주림도 해결해 주지 않지만, 따뜻한 눈길도 손길도 주지 않지만 다만 천으로 감싼 온기를 위해, 우리는 어떤 ‘장치’로 향하고 있는가.